제조 산업은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동화를 강화하기 위해 산업용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전환에 주목하고 있다. 자동화 기술의 확산은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공정 품질을 높이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 도입 수요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기술 인텔리전스 기업 ABI 리서치(ABI Research)가 미국, 독일, 말레이시아를 대상으로 2024년 4분기부터 2025년 1분기까지 제조 산업의 로봇 활용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는 제조 엔지니어에서 C레벨 임원까지 다양했으며, 대부분 IT 관리자 이상의 직급을 보유하고 있었다.
조사에 따르면 제조업체의 53%가 산업용 로봇 하드웨어 도입 초기 단계에 있으며, 28%는 이미 설비에 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용 로봇 도입이 제조 품질 향상에 핵심 역할
응답 기업의 40%는 산업용 로봇 도입을 품질 개선의 핵심 전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이전 조사에서의 34.1% 대비 증가한 수치다. 또 다른 19%는 향후 5년 이내에 도입을 고려하고 있으며, 33%는 협동 로봇(Co-bot)이나 모바일 로봇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제조 현장에서 로봇 활용의 기대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ABI 리서치의 로봇 산업 분석가 조지 초우두리(George Choudhury)는 “로봇 폼팩터 전반에서 도입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며 “제조업체들이 자동화의 ROI 가능성과 가치사슬 상에서의 효과를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반영되지 않은 조사 시점이었던 만큼, 현재 상황이라면 PoC(개념 증명) 평가가 더 늘어났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동화 도입의 주요 장애 요소로는 전문성 부족, 신기술 구현 시간 부족, 기술 역량 부족 등이 꼽혔고, 자동화로 인한 인력 대체 우려는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생성AI에 대한 인식 증가, 도구 최적화보다는 프로세스 계획에 중점
이번 설문은 제조업체의 생성형 AI(Generative AI) 활용 인식에 대한 정보도 포함했다. 응답자의 50%는 생성형 AI가 도구 경로 최적화에 활용될 수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실제 구현 기술과 기대치 간 괴리를 보여준다. 해당 기능은 ABB의 로봇 스튜디오(Robot Studio), 엔비디아의 아이작(Isaac), 지멘스(Siemens), 다쏘시스템(Dassault Systèmes) 등의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툴이 제공하고 있다.
반면, 63%는 예측 유지보수에, 66%는 생산 라인 최적화에 생성AI가 가치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AI가 실시간 제어보다는 데이터를 활용한 공정 개선에 더 적합하다는 인식을 나타낸다. 또한 62%는 인간-로봇 상호작용 계획과 분석, 최적화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초우두리는 “AI 증강 로봇의 실제 역량과 시장의 인식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라며, “OEM과 시스템 통합업체는 이러한 인식 차를 좁히고 로봇 하드웨어의 실제 가치를 시장에 전달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제조 현장에서 산업용 로봇과 AI 기술에 대한 수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품질 및 공정 혁신의 핵심 기반이 마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들은 기술 역량 강화와 함께, 현실적 도입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 전략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사
- ETRI, 비정형 지형 인식 AI 기술로 세계 2위...자율주행·재난로봇 활용 청신호
- 노타-딥엑스, 초소형·초저전력 온디바이스 AI 고도화 협력
- ‘연결성·컴퓨팅·확장성·보안’ 결합 ‘지능형 자동화 제어기’...기존 PLC 대체, 스마트 제조 혁신
- IoT 장치 수명 주기 관리의 미성숙, OEM 보안·규정 준수 역량에 경고등
- 로봇 자동화 구현 문제 해결 전략...컨설팅과 장기적 고객지원 자동화
- C/C++ 개발자 지원 ‘비주얼 스튜디오 생성AI 에이전트’...규정 준수 간소화·보안성 강화
- 세계는 지금 로봇 연구 및 개발에 치열한 경쟁 중
- ‘AI 자율제조’로 진화하는 스마트 제조와 스마트 팩토리
- 로봇과 클라우드의 결합 ‘클라우드 로보틱스’ 시대 본격화
- [2025년 전망] 엔비디아 예측 AI 기술 트렌드
- 자율 원격 조종 휴머노이드 로봇 ‘계약금 없이 월 단위로 임대’
- 복잡한 운송 계획 자동화하는 경로 최적화 콕핏...물류 최적화 혁신
- 관리형 SIEM 아웃소싱...위협 탐지 자동화와 사고 대응 강화 전략으로 부상
- 제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기능...인력 부족 해법과 생산성 향상 견인
- 엠아이큐브솔루션, 자율제조 AI 솔루션 ‘엠아이큐브닷에이아이’ 공개
- “SIEM 탐지 누락 79%...기업 로그 활용 한계 드러낸 탐지 분석”
- 생성AI 보안 검증으로 SoC 설계 강화
- “ABB, 고하중·고정밀 산업용 로봇 3종 출시...에너지 절감·공간 효율 극대화”
- [Success Story]보컨셉, 다쏘시스템 '홈바이미' 도입해 맞춤형 가구 경험 디지털 전환
- 로봇 운영체제(ROS), 산업 자동화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며 탄탄대로
- 지멘스-SK키파운드리, 130nm 차량용 전력 반도체용 PERC PDK 공동 출시
- Arm ‘네오버스 컴퓨팅 서브 시스템’ 검증에 지멘스 벨로체 채택
- 인도 애드버브, 지멘스 엑셀러레이터로 공장·창고 자동화 혁신
- 통합 주문·관리 플랫폼, 제조산업 생산 효율성·사용자 편의성 향상
- AI 예측 유지보수와 자동화 플랫폼으로 서비스 효율 극대화
- 오르벡, 한국 모바일 로봇 3D 비전 시장 점유율 72% 달성
- AI 대체 가속, 2026년 기업 30%가 ‘AI 인력 전환’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