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기업 딥엑스(대표이사 김녹원)가 글로벌 시장 고객 및 비즈니스 확장을 위해 전재두 미국 법인장을 전격 영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전재두 미국 법인장은 ST-에릭슨(ST-Ericsson), TI(Texas Instruments), NXP 등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주요 반도체·IT 기업에서 20여 년간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온 베테랑이다. 모바일·자동차·홈 엔터테인먼트 등의 분야에서 하드웨어 설계와 기술 마케팅, 세일즈를 경험하며 쌓은 전문성과 폭넓은 네트워크가 강점이다.
특히 NXP에서 보안 및 커넥티비티(Security & Connectivity) 사업부의 북미 및 한국 시장 모두를 아우르는 제품 마케팅 디렉터로 재직하며 사업 개발, 고객사 협업, 로드맵 수립을 주도했다. 그 결과 삼성, LG 등 글로벌 고객사를 상대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마련하고, 차세대 반도체 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해온 성과를 인정받았다.
딥엑스는 전 법인장을 중심으로 북미 시장에서 더욱 공격적인 사업 전개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영입을 시작으로 미국 시장에서 고객 확보와 기술 지원을 리드할 비즈니스 리더 및 현지 FAE(Field Application Engineer) 인력 확충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을 가속화하고, 보다 적극적인 고객 지원을 바탕으로 시장을 점유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전 법인장은 “AI 반도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긴밀히 결합해야만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기술적 차별화와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확보해 딥엑스의 비즈니스 확장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CES 2025] 딥엑스, 온디바이스 AI 혁신과 글로벌 협력 성과 공개
- [CES 2025] 딥엑스-DFI, 스마트 도시와 미래 산업 기반 차세대 에지 AI 플랫폼 선봬
- 딥엑스, AI 반도체 ‘DX-M1’ 양산 수율 90%대 내년 초 공급
- 딥엑스, AI 반도체 '발열 제어·전력 성능' 입증... '양산·수율' 확보 박차
- 딥엑스, 프로스트 앤 설리번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상’ 수상
- 딥엑스, AI 모델 비전 언어 모델·저전력 초격차 기술·AI 토털 솔루션 선봬
- 서울대 연구진, 고품질 반도체 대량 생산 길 여는 반도체 신기술 ‘하이포택시’ 개발
- 중기부, AI·반도체 산업 5.7조 원 투자…AI 스타트업 지원 강화
- 향후 20년 반도체 산업을 주도할 기술 “3D 칩렛 통합·자율주행·유전자 분석”
- '와이어 본딩 없는 전력 반도체 패키징' 부상
- 반도체 및 설계 혁신 ‘하드웨어 지원 검증 솔루션’...600억 개 이상 게이트 설계 확장
- 삼성전자,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매출 75.8조 원, 영업이익 6.5조 원
- ETRI-美 ANL, 우주 고에너지 입자 검출·분석 반도체 개발 협력
- 코보, 자동차용 UWB 칩 ‘자동차 반도체 등급 인증’ 획득
- [CES 2025] 3D 맵핑으로 복잡한 환경 자율주행 고도화...안정성·효율성 강화
- [CES 2025] 주목받는 국산 ‘컨베이어 샤프트 접지 모니터링 시스템’...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시 정전기 문제 해결
- “현재와 미래의 디지털 핵심 기술, 인공지능·인공지능 반도체·양자 기술”
- 시큐리티플랫폼, 개방형 반도체 기반 보안 가스미터 해외 시장 공략
- 딥엑스, 獨 ‘임베디드 월드’서 글로벌 협력 성과 공개
- 딥엑스, 1세대 양산 칩 ‘DX-M1’ 기술 검증 300건 돌파
- 스마트시티·보안 관제 산업 겨냥한 고성능·저전력 국산 AI 반도체 솔루션
- 노타-딥엑스, 초소형·초저전력 온디바이스 AI 고도화 협력
- 노타, 퀄컴 AI 허브 최적화된 온디바이스 AI 기술 공개
- 딥엑스-윈드리버, 우주·방위·로봇 최적화 ‘에지 AI 솔루션’ 개발 협력
- 딥엑스-한컴아카데미, AI 반도체 산업 교육·유통 생태계 확대
- 딥엑스, 2나노 초저전력 생성AI 반도체 ‘DX-M2’ 개발 착수…삼성 파운드리와 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