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그룹은 3월 31일부터 4월 4일까지 독일에서 열린 세계 최대 산업 기술 박람회 ‘하노버 메세 2025’에 참가해 산업용 AI,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SDA) 등의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롤랜드 부시 지멘스그룹 회장은 개막 연설을 통해 산업용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멘스가 산업 전반의 경쟁력, 회복 탄력성, 지속 가능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멘스가 산업 현장에 대한 전문성과 데이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AI와 결합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멘스는 하노버 메세 2025에서  산업용 AI와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등 차세대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지멘스는 하노버 메세 2025에서 산업용 AI와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등 차세대 제조 기술을 선보였다.

지멘스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산업 특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산업용 파운데이션 모델(IFM)을 개발하고 있다. 이 모델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플랫폼에서 작동하며, AI가 3D 모델, 2D 도면, 산업 기술 사양 등을 이해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인간과 기계 간의 협업 수준을 높이고, 숙련 인력 부족 문제 해소 및 생산성, 효율성,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반 산업 혁신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평가받는다.

지멘스는 아우디와의 협업을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SDA)를 현실에 적용한 사례도 발표했다. 아우디 뵐링거 회페 공장에 세계 최초로 가상 PLC(vPLC)를 도입해 공장 전체 생산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이 기술은 독일기술검사협회(TÜV)로부터 안전 인증을 획득해 신뢰성을 확보했다. 물리적 하드웨어 제약 없이 데이터 센터에서 생산을 제어하는 방식은 제조 공정의 디지털화를 가속하고 있다.

지멘스는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액센츄어, AWS 등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액센츄어와는 700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그룹을 출범해 산업용 AI 및 자동화 솔루션 공동 개발에 나섰다. 엔비디아와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팀센터 디지털 리얼리티 뷰어’를 공개하며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현했다. AWS와는 지멘스의 ‘빌딩 X’와 아마존의 AI 플랫폼을 연동해 스마트 인프라 분야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입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