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그룹은 3월 31일부터 4월 4일까지 독일에서 열린 세계 최대 산업 기술 박람회 ‘하노버 메세 2025’에 참가해 산업용 AI,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SDA) 등의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롤랜드 부시 지멘스그룹 회장은 개막 연설을 통해 산업용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멘스가 산업 전반의 경쟁력, 회복 탄력성, 지속 가능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멘스가 산업 현장에 대한 전문성과 데이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AI와 결합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멘스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산업 특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산업용 파운데이션 모델(IFM)을 개발하고 있다. 이 모델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플랫폼에서 작동하며, AI가 3D 모델, 2D 도면, 산업 기술 사양 등을 이해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인간과 기계 간의 협업 수준을 높이고, 숙련 인력 부족 문제 해소 및 생산성, 효율성,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반 산업 혁신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평가받는다.
지멘스는 아우디와의 협업을 통해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SDA)를 현실에 적용한 사례도 발표했다. 아우디 뵐링거 회페 공장에 세계 최초로 가상 PLC(vPLC)를 도입해 공장 전체 생산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이 기술은 독일기술검사협회(TÜV)로부터 안전 인증을 획득해 신뢰성을 확보했다. 물리적 하드웨어 제약 없이 데이터 센터에서 생산을 제어하는 방식은 제조 공정의 디지털화를 가속하고 있다.
지멘스는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액센츄어, AWS 등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액센츄어와는 700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그룹을 출범해 산업용 AI 및 자동화 솔루션 공동 개발에 나섰다. 엔비디아와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팀센터 디지털 리얼리티 뷰어’를 공개하며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현했다. AWS와는 지멘스의 ‘빌딩 X’와 아마존의 AI 플랫폼을 연동해 스마트 인프라 분야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입증했다.
관련기사
- 팀뷰어, 하노버 메세 2025서 몰입형 ‘공간 컴퓨팅’ 솔루션 공개
- 지멘스, 알테어 엔지니어링 인수로 AI 기반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 강화
- 지멘스-오피모빌리티, 모빌리티 제품 설계 최적화 협력
- 예측 유지 관리 시장, AI·IoT 접목으로 飛上
- “HD현대, AI와 디지털 기술로 조선업 패러다임 전환하겠다”
- “효율·성능·보안 강화한 Armv9 에지 AI 플랫폼으로 차세대 AI·IoT 시대 주도하겠다”
- 향후 20년 반도체 산업을 주도할 기술 “3D 칩렛 통합·자율주행·유전자 분석”
- 지멘스, 일본 이화학연구소에 에뮬레이션 및 HLS 플랫폼 공급
- OT 자산의 숨겨진 위험 평가법 'CSAV'...자산 매개변수 기반 보안 태세 평가로 정확성↑
- 지멘스-컴퓨트 마리타임...생성AI로 선박 설계·시뮬레이션 자동화 맞손
- 생성AI 강화된 앱 개발 플랫폼 ‘멘딕스 10.18 버전’
- 지멘스 심센터, 자동차·항공우주 시뮬레이션 향상
- 지멘스 퓌르트 공장, ‘지속 가능성 등대 공장’ 선정...에너지 소비·온실가스 배출 감축
- 지멘스, 지속 가능한 산업용 AI·디지털 트윈 기술 공개
- AWS, 아마존 Q 디벨로퍼 한국어 지원 확대
- 실시간 디지털 트윈·지능형 자동화 구현하는 ‘산업 데이터 인프라 플랫폼’
- 생성AI 보안 검증으로 SoC 설계 강화
- 현장 작업 자동화하는 필수 ‘산업 특화 AI 에이전트’ 15종...효율성·안전성↑
- [Success Story]기아 슬로바키아, 차체 공정 자동화 현대화에 로크웰 오토메이션 키네틱스 적용
- 지멘스, NX 최신 업데이트 발표...AI 코파일럿·몰입형 설계·통합 시뮬레이션 기능 추가
- 지멘스-SK키파운드리, 130nm 차량용 전력 반도체용 PERC PDK 공동 출시
- Arm ‘네오버스 컴퓨팅 서브 시스템’ 검증에 지멘스 벨로체 채택
- 인도 애드버브, 지멘스 엑셀러레이터로 공장·창고 자동화 혁신
- 스카이루트, 지멘스 ‘폴라리온’으로 항공우주 시스템 수명 주기 관리 혁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