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확산과 함께 사이버 범죄의 양상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생성AI를 활용한 피싱, 사칭 메시지, 이메일 사기 등은 점점 더 정교하고 설득력 있게 발전하고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디지털 보안 기업들은 더욱 실시간성 있고 정밀한 위협 탐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I 기반 사기 방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솔루션 기업 젠디지털(Gen Digital) 산하 디지털 보안 브랜드 아바스트(Avast)는 새로운 AI 기반 사기 방지 솔루션인 스캠 가디언(Scam Guardian)과 스캠 가디언 프로(Scam Guardian Pro)를 발표하고, 아바스트 프리 안티바이러스(Avast Free Antivirus)와 아바스트 프리미엄 시큐리티(Avast Premium Security)에 통합했다고 밝혔다.
스캠 가디언은 무료로 제공되는 AI 기반 사기 방지 기능으로, 기존의 악성 링크 차단 방식에서 더 나아가 웹사이트 콘텐츠와 맥락, 언어를 분석해 위협을 식별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스캠 가디언 프로는 여기에 이메일 보안까지 포함해 사용자 보호 범위를 확장한 프리미엄 버전이다.

다양한 사기성 요소 포괄적 분석 및 탐지
스캠 가디언은 젠 쓰렛 랩(Gen Threat Labs)의 사기 데이터로 학습된 독점 AI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단순한 URL 필터링이 아니라, 웹사이트의 언어와 코드, 시각적 구성, 상품 정보까지 포괄적으로 분석해 사기성 요소를 탐지한다. 사용자는 스캠 가디언에 포함된 아바스트 어시스턴트(Avast Assistant) 기능을 통해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나 메시지, 이메일 등에 대해 24시간 AI 기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 기능은 자연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질문에 명확한 보안 조언을 제공한다. 해당 기능은 윈도우 및 맥에서 사용 가능하다.
웹 가드 기능은 사용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수백만 개의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훈련된 AI 모델을 통해 웹 콘텐츠에 숨겨진 사기 행위를 탐지한다. 웹사이트 코드에 숨어 있는 위협까지 분석하며, 사용자가 악성 쇼핑 사이트나 피싱 링크에 접근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 기능은 윈도우, 맥,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스캠 가디언 프로는 기본 기능에 이메일 가드 기능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메일 가드는 메시지의 문맥과 어휘를 분석해 사기성 여부를 식별하고, 사용자가 이메일을 열기 전에 안전 여부를 경고한다. 이 기능은 기기나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보안 수준을 제공하며, 윈도우, 맥, 안드로이드, iOS 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보안 위협 통계와 시장 대응 배경
2025년 1분기 젠 위협 리포트(Gen Threat Report)에 따르면, 같은 해 1월부터 3월 사이 개인 정보 유출은 186% 이상 증가했고, 피싱 사기 신고는 전 분기 대비 466%나 급증했다. 전체 사기 유형 중 피싱은 거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요 공격 벡터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개인 정보 유출이 사기 공격에 악용되는 양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사기 수법이 더 정밀하고 표적화되는 추세임을 의미한다.
아바스트의 스캠 가디언은 이러한 위협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실제 위협 수사관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기를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젠의 최고제품책임자(CPO) 리나 엘리아스는 "사기 공격은 이제 더 이상 단순하거나 노골적이지 않다"며, "AI 기술이 접목된 사기 방식을 대응하려면 동일한 수준의 AI 방어 기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누구든 사기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시대에, 보편적이고 강력한 보안 기술의 접근성이 필수"라고 말했다.
스캠 가디언과 스캠 가디언 프로는 각각 아바스트 프리 안티바이러스와 아바스트 프리미엄 시큐리티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되며, 글로벌 사용자 누구나 다운로드 및 활용이 가능하다. 아바스트는 2025년 하반기에 스캠 가디언 프로에 SMS와 음성 통화 보안 기능을 포함한 AI 기반 확장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는 이메일 이외의 통신 채널을 통한 사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이다.
젠디지털은 이번 발표를 통해 생성AI 시대에 적합한 사기 방지 기술의 대중화에 본격 나서고 있으며, AI 기술을 이용한 공격에 AI 기반 방어로 맞서는 글로벌 보안 전략을 실현하고 있다. 아바스트는 스캠 가디언을 통해 전 세계 사용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사기 대응 툴을 제공하고 있으며, 누구나 디지털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보안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 설문 데이터 사기 막는 ‘노플라이 리스트’ 기술...AI로도 탐지 어려운 ‘정교한 사기’ 대응
- 기기 인텔리전스로 실시간 신원 사기 차단
- AI 기반 사기 탐지·신원 보호 기술 특허 확보 전략
- “딥페이크 기반 합성 신분증 사기 300% 급증”
- 금전 피해 넘어 생명 위협하는 ‘헬스케어 광고 사기’ 대응 전략
- AI 기반 선제적 신원 사기 차단 기술로 채용 보안 강화
- 비신분증 사기 차단 ‘AI 문서 인증’...AI·포렌식·메타데이터 분석 결합 KYC·KYB·AML 규정 대응
- AI 기반 지원자 필터링으로 채용 사기 방지...실시간 검증과 스팸 차단까지
- 단축되는 인증서 수명, SSL/TLS 인증서 유효성 검사 자동화·중앙화하는 ‘DCVaaS’로 보안 민첩성 강화
- AI 기반 사기 대응·자동화된 분쟁 처리’ 통합으로 “전자상거래 환불 보호 강화”
- 광고 수익 올리는 ‘화이트 라벨 실시간 입찰 플랫폼’...중개 없는 광고·SDK 통합·사기 방지·공동 네트워크 구성
- 행동 데이터 수집·규정 준수 동시 해결하는 ‘디지털 신원 데이터 플랫폼’
- AI로 진화하는 합성 신원사기 ‘리피터’ 대규모 침투 경고
- AI 사기로 자금난과 불신에 처한 공공기관들, AI로 반격 준비 중
- 광고주 울리는 광고 사기 '무효 트래픽'...실시간 탐지와 정밀 차단 시급
- 사기 탐지 정확도와 규정 준수 강화하는 이메일 검증 기술
- 지속적 모니터링 자금세탁방지 시스템...글로벌 규정 실시간 정밀 대응
- 이메일 사기를 판가름하는 4가지 지표...위험 탐지 정밀도 높여 사기 예방
- ‘AI 음성 분석·무차별 대입 공격 방어·기업 규정 준수’ 강화한 보안 플랫폼...선제적 보안 위협 대응
- 온라인 사기 막는 통합 보안 시스템
- 공공 서비스 사기, 긴급 통보와 금전 요구 수법 증가...금융정보 보호 필요
- 다중 인증 우회하는 서비스형 피싱 PhaaS 확산세...도메인 난독화·하위 도메인 타깃 활용 증가
- 맬웨어바이츠, AI 기반 이메일 보안 통합으로 다양한 위협에 정밀 대응
- AI 기반 이메일 보안으로 아웃바운드 위협 차단
- 기업 웹 전략 실용적 진화 ‘헤드리스 CMS’...비용↓성능·관리 효율↑
- 외교관 노린 중국 연계 사이버 스파이 캠페인, 다단계 침투와 웹 트래픽 탈취로 위협 고조
- AI 자율 탐지 에이전트, 이메일 위협 탐지 “ 몇 주에서 몇 시간으로 단축”
- [기고]이메일 보안의 진실, DMARC와 DKIM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 진화하는 피싱 사기에 대처하는 12가지 소비자 안전수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