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술 리더들은 AI가 2024년 가장 중요한 기술 영역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세계 최대의 기술 전문 조직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이 "2024년 및 그 이후의 기술 영향: IEEE 글로벌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위해 IEEE은 미국, 영국, 중국, 인도, 브라질 등에서 직원이 1000명 이상인 조직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최고정보책임자(CIO), IT 이사 등 글로벌 기술 리더 3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2024년에 기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상위 5개 산업 부문으로 ▲통신(41%, 2023년 40% 대비) ▲제조업(39%, 2023년 30% 대비) ▲은행 및 금융 서비스(39%, 2023년 33% 대비) ▲ 자동차 및 운송(31%, 2023년 39% 대비) ▲에너지(31%, 2023년 33% 대비) 등을 선택했다.
IEEE은 2024년에 중요한 기술 영역에 대해 12개가 넘는 기술 분야 중에서 상위 3개를 선택하는 조사도 했다. 결과에 따르면 AI는 2024년 가장 중요한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조사 결과 2024년의 중요한 기술로는 ▲예측 및 생성 AI, 기계 학습(ML) 및 자연어 처리(NLP)를 포함한 AI가 65% ▲메타버스,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및 혼합 현실(MR)을 포함한 확장현실(XR)이 28% ▲(24%) 클라우드 컴퓨팅 24% ▲5G(22%) ▲전기차(20%) 순으로 꼽혔다.
2024년에는 데이터를 최적화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며 인간과 같은 정확도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AI 애플리케이션과 알고리듬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기술 리더들은 내년에 AI를 위한 최고의 잠재적 응용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사이버보안 취약성 식별 및 공격 예방(54%) ▲공급망 및 창고 자동화 효율성 향상(42%)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및 가속화, 고객 서비스 자동화(38%) ▲고객 서비스 자동화(35%) ▲후보자 심사, 모집 및 채용 시간 단축(34%) ▲질병 매핑 및 약물 발견 가속화(32%) ▲유틸리티 전원 자동화 및 안정화(31%)를 꼽았다.
2024년에 전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AI 기반 소프트웨어로 인해 일자리가 몇 퍼센트나 증가할 지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의 41%가 일자리의 26~50%를 언급했다. 4분의 1 이상(28%)이 1~25%를 언급했다. 또 다른 26%는 일자리의 51~75%를 언급했고, 5%는 일자리의 76~100%를 언급했다.
2024년에는 확장현실(XR)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사용하여 제품 프로토타입 및 제조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 개발 및 안전하게 테스트하는 가상 시뮬레이션이 중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3%가 매우 중요, 29%가 다소 중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5G가 2023년과 비교하여 교통 인프라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더 큰 이점을 포함하여 2024년에는 ▲원격 수술, 건강 기록 전송을 포함한 원격 의료(2024년과 2023년 모두 54%)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일상 커뮤니케이션(2024년 46% vs. 2023년 49%) ▲원격 학습 및 교육(2024년 46% vs. 2023년 56%)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및 라이브 이벤트 스트리밍(2024년 43% vs. 2023년 51%) ▲교통 및 교통통제(2024년 39% vs. 2023년 29%) ▲제조/조립(2024년 27% vs 2023년 25%) ▲탄소 배출량 감소 및 에너지 효율성(2024년 30% vs 2023년 23%) 등의 영역에서 가장 많은 이점을 얻을 것으로 예상한다.
전 세계 기술 전문가 10명 중 거의 9명(88%)이 6G가 주로 2024년에 진행 중인 진화 작업이 될 것이지만 향후 3~5년 내에 표준화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또한 전 세계 기술 전문가의 대다수(94%)는 모바일 연결을 위한 통신 위성의 개발이 2024년에 전 세계 일부 농촌 및 선진국 지역에 동등성을 가져올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생성AI는 계속해서 기술 환경을 지배할 수 있지만, 양자와 같은 다른 기술은 눈에 띄지 않더라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87%가 동의함(강하게 동의함 51% 포함)). 또한 응답자의 86%는 2024년에 양자 컴퓨팅이 오늘날 가장 발전된 슈퍼컴퓨터보다 1조 배 더 높은 컴퓨팅 성능과 포스트 양자 암호화 및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적용 측면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기술은 계속해서 우선 순위가 될 것이다. 대다수는 2024년 이후의 지속 가능성 목표를 우선시했으며 회사에서 구현하는 모든 기술은 에너지 효율적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 동의한다(92% 동의, 강력히 동의한 54% 포함).
2024년 기술 리더의 상위 3개 항목에 포함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이버 보안 문제는 작년과 동일하게 유지됐다. 데이터 센터 취약성(2024년, 2023년 모두 43%), 클라우드 취약성(2024년 42%, 51%에서 감소) 2023년) 및 모바일 및 하이브리드 인력/직원이 자신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보안 문제(2024년 41%, 2023년 46%에서 감소).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2024년에는 랜섬웨어 공격(2023년 30%에서 2024년 37% 증가), 피싱 공격(2023년 25%에서 2024년 35% 증가), 내부자 위협(2023년 26% 증가)을 포함한 다른 사이버 보안 우려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19%에서 2024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2024년 업무 현장에 일어날 5대 변화
- 자동차용 3D 디스플레이 대중화는 언제일까?
- 기업 협업툴로 부상하는 메타버스, 생산성·협업·직원경험↑
- 로봇과 드론의 각축전 '라스트 마일 배송', 승자는?
- [기고]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이터 전략
- 안전한 양자 컴퓨팅 암호화의 미래
- AI가 마케터를 대체할 수 있을까?
- 자율주행 차량이 '완전 자율성'으로 가는 길
- IIoT 등 산업 자동화 시장 공략 나서는 '아두이노'
- '퀀텀닷'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을 재편하다
- 기업 생성AI 솔루션 도입 돕는 '엔드 투 엔드 서비스', 생산성↑비용↓
- 외과 수술과 치료를 변화시키는 AI
- “샌즈랩,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CTX’ 글로벌 向 자신만만”
- [기고]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 5대 전략
- 복잡하고 어려운 AI 구축, 빠르고 효율적으로 끝내기
- 공유 플랫폼에 만연한 사기와 원치 않는 행위를 막는 법
- AI 슈퍼컴퓨터 시장, 2028년까지 연평균 22.0% 성장
- 개인화·자동화된 자기주도형 문제 해결 모바일 앱, 직원 역량 강화
- 시각적 AI 기반 노코드 테스트 자동화 툴,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
- [기고] 매 30초 이내의 사이버 공격, 막을 준비 되었는가?
- 글로벌 6G 시장을 주도할 기업들
- 몰입형 3D 메타버스 '인터월드',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세계
- LLM 성능·활용도 높이는 '양자 영감 알고리듬' 3가지 특허 적용
- 생성AI 데이터센터 패브릭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등장
- '제조 산업의 AI' 연평균 47.8% 놀라운 성장
- 직원 교육과 기술 격차 ‘생성AI가 해결’
- AI 기반 교육·운전자 지원 시스템 결합, "운전 경험 향상"
- 활용도 높아지는 양자 컴퓨터 호스팅
- [기고] 데이터 기반 IT 투자 극대화 및 최종 사용자 경험 향상법
- 한국 양자 컴퓨팅 시장 문 두드리는 '큐에라 컴퓨팅'
- 고객과 은행을 모두 이롭게 하는 AI
- 국경·언어 장벽넘는 AI 기반 XR 디지털 수술 플랫폼
- 드디어 기업용 '양자 플랫폼' 등장!
- AI·머신러닝 날개 달고 '양자 컴퓨팅' 비상
- 차세대 양자 프로세서 'IBM 퀀텀 헤론', 성능↑오류율↓
- 제로 트러스트 적용 액티브 인텔리전스 SDK, 개발 프로세스 단순해지고 보안은 강화
- 소프트웨어 테스트 과정에 AI 채택률 ‘78%’
- 제조 산업을 혁신하는 디지털 트윈
- [2024년 전망] 금융계 생성AI 도입의 위험과 이점
- 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AI 기반 전기 배송차
- 전기차 구매를 좌우하는 “비용과 충전소 접근성”
- EV 배터리 포메이션∙테스트 시장, 16.5% 견고한 성장세
- 메타버스 실천윤리, 생태계 혁신과 자율규제 문화 조성 기대
- 90개 언어 지원 인간 닮은 기업 맞춤형 AI 솔루션
- 위치·서비스·안전까지 보장하는 '창고 솔루션'
- [CES 2024] 현실 기반 XR 메타버스 플랫폼 체험
- 웹3, 메타버스 경험, AR, VR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
- [CES 2024] 지멘스, 산업용 메타버스 구현
- 기업 자산 관리 효율성 높이는 유틸리티 자산 관리 최적화 10대 전략
- [CES 2024] 인텔, SDV 중심의 ‘AI 에브리웨어’ 전략 발표
- 6G 공동 연구 위해 한국과 핀란드 협력
- 국내 개발 자율주행 제어 기술, 세계 대회서 인정
- 퀵텔, 비지상망 위성 통신 모듈 인증 획득
- 양자 컴퓨팅 공격 대비 '포스트 양자 암호화 스타터 키트'
- 2024년 AI 및 자연어 처리에 대한 전문가 예측
- [Success Story] 인도 애더 에너지, 지멘스 도입으로 e-모빌리티 가속화
- 생성AI 시대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지원 플랫폼
- 라온시큐어-은평성모병원, 의료 전문 실습 콘텐츠 협력
- 삼성전자, 28㎓ 이음5G 통신망 구축
- 안리쓰-KT, IEEE Wi-Fi 7 성능 테스트 검증
- [MWC 2024] 맥스트, AR/XR 기반 공간 컴퓨팅 혁신 공개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에 ‘1197억 원 투자’
- 내부자 보안 사고의 56%는 ‘부주의’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기고] 기업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클라우드 컴퓨팅 3단계 전략
- 인세라솔루션, 우주광통신 기술 개발 3억 원 투자 유치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수많은 과학자들의 땀으로 빛나는 별 ‘인공위성’
-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한국 정찰위성 발사 지원
